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총정리! 세전·세후 차이, 얼마나 날까?

by 청년복지지원도우미 2025. 6. 26.

연봉이 오르면 내 월급도 올라야 하는데... 어째 통장잔고는 그대로일까요?
많은 직장인들이 연봉계약서를 받고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건 바로 세후 실수령액입니다.
세전 연봉만 보고 생활비 계획 세웠다간, 세금에 '멘붕' 오는 건 순식간!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총정리! 세전·세후 차이, 얼마나 날까?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 연봉 실수령액표와 함께
실제 내 월급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정확히 계산해보고,
세금을 줄이는 꿀팁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연봉 실수령액이란? 내가 실제로 받는 월급

 

‘연봉 5천입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월 416만 원쯤 받겠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건 세전 기준일 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까지 빠지고 나면
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훨씬 줄어듭니다.

 

항목 공제율 (2025년 기준)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 0.9%
소득세 6%~45% (누진세 적용)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서류를 들여다보는 한국인 직장인의 장면

2025 실수령액표, 연봉별 실전 계산 예시

연봉 월 세전 월 실수령액
3,000만 원 2,500,000원 2,248,340원
4,000만 원 3,333,333원 2,917,143원
5,000만 원 4,166,667원 3,552,316원
6,000만 원 5,000,000원 4,183,470원
9,000만 원 7,500,000원 5,868,840원
1억 원 8,333,333원 6,423,903원

 

세전 1억 원이어도 실수령은 650만 원이 채 안 되는 현실!
세금과 4대 보험이 매달 191만 원이나 빠지니까요.

 

서류를 들여다보는 한국인 직장인의 장면

왜 연봉이 오를수록 세금도 무섭게 오를까?

 

답은 ‘누진세’ 구조에 있습니다.
소득이 많아질수록 점점 높은 세율이 적용되죠.

 

구간 소득세율
1,400만 원 이하 6%
1,400~5,000만 원 15%
5,000~8,800만 원 24%
8,800~1억 5천만 원 35%
1억 5천~3억 원 38%
3억~5억 원 40%
5억~10억 원 42%

 

연봉 1억 받는 사람은 실제 월급이 640만 원대!
월 1천만 원 실수령액을 원하면, 연봉은 1억 7천만 원 이상이어야 가능하다는 사실!

 

실수령액 늘리는 3가지 꿀팁

1️⃣ 비과세 항목 적극 활용
식대(20만 원), 연구활동비(20만 원), 출장비 등 비과세 처리 가능한 급여 항목을 늘려보세요.

2️⃣ 연말정산 공제항목 챙기기
신용카드, 의료비, 교육비, 연금저축, IRP 등으로 세액공제 혜택 챙기면 환급 가능성도 UP!

3️⃣ 인적공제 활용
부양가족(배우자, 자녀, 부모 등)이 있다면 공제를 통해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어요.
4인 가구 기준, 1인 가구보다 월 37만 원 더 받을 수도!

결론: 세전보다 실수령 기준으로 연봉을 보자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도 같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연봉 협상 시에는 세전 금액이 아닌 세후 실수령액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생활비, 저축, 대출 상환 등 모두 실제 들어오는 돈을 기준으로 계획하는 게 현실적이니까요.

 

2025년에도 똑똑한 재무 계획으로 통장 사수, 함께 해보아요!

 



 

 

전세 공동명의, 정말 해야 할까? 장단점 완전 정리!

부부라면 전세 계약서에 '공동명의'를 고려한 적 있으실 겁니다.하지만 장점만 있을까요? 계약부터 대출까지, 꼼꼼히 따져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전세 공동명의의 실질적인 장단

3040lifeinfo.tistory.com

 

 

실업 중 국민연금 최대 75% 지원! '실업크레딧' 꼭 신청해야 하는 이유

실직 후 국민연금 납부가 걱정되시나요? 구직급여 수급자라면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제도를 통해 최대 7...

blog.naver.com